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전시산업발전법

전시산업발전법.hwp (28.5K), Down : 0, 2016-02-20 19:53:32
전시산업발전법,시행령,시행규칙.xls (116.9K), Down : 0, 2016-02-20 19:53:32

전시산업발전법

1장 총칙

1(목적) 이 법은 전시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그 발전을 도모하여 무역진흥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2(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개정 2011.3.30, 2013.3.23, 2015.2.3>

1. “전시산업이란 전시시설을 건립·운영하거나 전시회 및 전시회부대행사를 기획·개최·운영하고 이와 관련된 물품 및 장치를 제작·설치하거나 전시공간의 설계·디자인과 이와 관련된 공사를 수행하거나 전시회와 관련된 용역 등을 제공하는 산업을 말한다.

2. “전시회란 무역상담과 상품 및 서비스의 판매·홍보를 위하여 개최하는 상설 또는 비상설의 견본상품박람회, 무역상담회, 박람회 등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종류와 규모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3. “전시회부대행사란 전시회와 관련된 홍보 및 판매촉진을 위하여 개최되는 설명회, 시연회, 국제회의 및 부대행사 등을 말한다.

4. “전시시설이란 전시회 및 전시회부대행사의 개최에 필요한 시설과 관련 부대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종류와 규모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5. “전시사업자란 전시산업과 관련된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자로서 다음 각 목에서 규정하는 자를 말한다.

. 전시시설사업자 : 전시시설을 건립하거나 운영하는 사업자

. 전시주최사업자 : 전시회 및 전시회부대행사를 기획·개최 및 운영하는 사업자

. 전시디자인설치사업자 : 전시회와 관련된 물품 및 장치를 제작·설치하거나 전시공간의 설계·디자인과 이와 관련된 공사를 수행하는 사업자

. 전시서비스사업자 : 전시회와 관련된 용역 등을 제공하는 사업자

6. “사이버전시회란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을 활용하여 사이버 공간에서 개최하는 전시회로서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2장 전시산업 발전계획

3(전시산업 발전계획의 수립)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시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는 전시산업 발전계획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개정 2013.3.23, 2016.1.27>

1. 전시산업 발전 기본 방향

2. 전시산업 시장규모 및 현황

3. 전시산업의 국내외 여건 및 전망

4. 전시시설의 수급에 관한 사항

5. 국제수준의 무역전시회 육성

6. 지역전략산업과 연계한 전시회 활성화 방안

7. 전시산업 기반구축을 위한 사항

8. 그 밖에 전시산업 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시산업 발전계획을 수립 또는 변경하려는 때에는 제5조에 따른 전시산업발전협의회의 협의절차를 거쳐야 한다.<개정 2013.3.23, 2016.1.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전시산업 발전계획에 따라 전시산업 발전을 위한 사업(이하 전시산업 발전사업이라 한다)을 실시하고 이를 위하여 필요한 제도와 기준을 정할 수 있다.<개정 2013.3.23>

전시산업 발전계획의 수립 및 시행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4(전시산업 발전사업 주관기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시산업 발전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기관·법인 또는 단체를 전시산업 발전사업 주관기관(이하 주관기관이라 한다)으로 선정할 수 있다.<개정 2009.5.21, 2013.3.23, 2014.5.20, 2015.2.3>

1.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2. , , 자치구

3. 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

4.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5.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중소기업진흥공단

6. 중소기업협동조합법에 따라 설립된 중소기업중앙회

7. 삭제<2015.2.3>

8.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법인 또는 단체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주관기관이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때에는 그 선정을 취소하여야 한다.<개정 2013.3.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주관기관이 전시산업 발전사업을 추진하는 데 사용되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예산의 범위에서 지원할 수 있다.<개정 2013.3.23>

1항 및 제2항에 따른 주관기관의 선정 및 취소와 제3항에 따른 지원금의 교부, 사용 및 관리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5(전시산업발전협의회 설치·운영<개정 2016.1.27>) 전시산업의 발전에 관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관계 중앙행정기관 등과 협의하기 위하여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소속으로 전시산업발전협의회(이하 이 조에서 협의회라 한다)를 둔다.<개정 2013.3.23, 2016.1.27>

1. 3조에 따른 전시산업 발전계획

2. 11조에 따른 전시시설 건립(증설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계획

3. 전시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4. 그 밖에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부의하는 사항

삭제<2016.1.27>

협의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운영할 수 있다.<개정 2016.1.27>

협의회와 자문단의 구성·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개정 2016.1.27>

6(전시산업의 시장현황조사 및 수요조사<개정 2016.1.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제3조에 따른 전시산업발전계획의 수립과 중·장기 전시시설 확충을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전시산업에 관한 시장현황조사 및 수요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개정 2013.3.23, 2016.1.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시장현황조사 및 수요조사를 실시함에 있어서 필요한 자료를 관계 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에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을 받은 관계 행정기관 등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하여야 한다.<개정 2013.3.23, 2015.2.3, 2016.1.27>

3장 삭제<2015.2.3>

7조 삭제<2015.2.3>

8조 삭제<2015.2.3>

9조 삭제<2015.2.3>

10조 삭제<2015.2.3>

4장 전시산업 기반의 조성

11(전시시설의 건립) 주관기관이 국비 또는 지방비가 소요되는 전시시설을 건립하려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된 전시시설 건립계획에 대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과 미리 협의하여야 한다.<개정 2013.3.23, 2015.2.3>

1. 전시시설 건립의 타당성

2. 전시시설 건립에 사용되는 시설·인력 및 재원대책

3. 전시시설 운영 및 활용 계획

4. 숙박시설 등 부대시설 건립 계획

5. 그 밖에 전시시설과 관련하여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사항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전시시설 건립계획에 대하여 전시시설의 국제경쟁력, 전시회 및 전시회부대행사의 수급, 지역경제 발전에 대한 기여도, 지역균형 발전 등을 고려하여 조정할 수 있다.<개정 2013.3.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시시설이 국제회의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2조제3호에 따른 국제회의시설을 포함하는 경우 제2항에 따른 전시시설 건립계획에 대한 조정 시 문화체육관광부장관과 미리 협의하여야 한다.<개정 2013.3.23>

12(전시산업 전문인력의 양성) 정부는 전시산업 전문인력의 효율적인 양성을 위한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시산업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하여 주관기관으로 하여금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실시하게 할 수 있다.<개정 2013.3.23>

1. 전시산업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한 교육 및 훈련의 실시

2. 전시산업 전문인력의 효율적인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

3. 그 밖에 전시산업 전문인력의 교육 및 훈련과 관련하여 필요한 사업으로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정하는 사업

13(전시산업정보의 유통촉진 및 관리)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시산업정보의 원활한 공급 및 유통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개정 2013.3.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시산업정보의 공급, 활용 및 유통을 촉진하기 위하여 주관기관으로 하여금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실시하게 할 수 있다.<개정 2013.3.23>

1. 전시산업정보·통계의 기준 정립, 수집 및 분석

2. 전시산업정보의 가공 및 유통

3. 전시산업정보망의 구축 및 운영

4. 그 밖에 전시산업정보의 유통촉진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으로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정하는 사업

삭제<2015.2.3>

14조 삭제<2015.2.3>

15(사이버전시회 기반 구축)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사이버전시회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개정 2013.3.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사이버전시회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주관기관으로 하여금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실시하게 할 수 있다.<개정 2013.3.23>

1.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을 활용한 사이버전시회의 개최

2. 사이버전시회의 개최를 위한 관리체제의 개발 및 운영

3. 그 밖에 사이버전시회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으로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정하는 사업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사이버전시회를 개최·주관하거나 이에 참여하는 기관에 대하여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개정 2013.3.23>

16(국제협력의 촉진)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시산업의 발전 및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국제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개정 2013.3.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국제협력을 촉진하기 위하여 주관기관으로 하여금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실시하게 할 수 있다.<개정 2013.3.23>

1. 전시산업 관련 국제협력을 위한 조사 및 연구

2. 전시산업 전문인력 및 전시산업정보의 국제교류

3. 전시회·전시회부대행사의 유치 및 해외 전시 관련 기관과의 협력활동

4. 그 밖에 전시산업의 국제협력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업으로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정하는 사업

17(전시회의 국제화·대형화·전문화 등)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시회의 국제화·대형화·전문화를 통하여 국제경쟁력을 갖춘 전시회를 육성하기 위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개정 2013.3.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해외 참가업체 및 참관객의 유치촉진을 통하여 전시회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개정 2013.3.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시회가 지역전략산업과 연계되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개정 2013.3.23>

18(전시산업의 표준화)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시산업의 효율적 육성을 위하여 전시산업의 표준화를 위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개정 2013.3.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시산업의 표준화를 위하여 필요한 기준 및 제도를 정할 수 있다.<개정 2013.3.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시산업의 표준화를 위하여 주관기관으로 하여금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실시하게 할 수 있다.<개정 2013.3.23>

1. 전시회 관련 업무 및 절차의 표준 제정을 위한 연구

2. 전시사업자간 계약 기준의 설정(이 경우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19조제1항 및 제26조제1항을 준수한다)

3. 그 밖에 전시산업의 표준화를 위하여 필요한 사업으로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정하는 사업

19(전시회 관련 입찰의 특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시산업의 육성과 건전한 경쟁구조 정착을 위하여 전시회와 관련된 기획, 설계, 제작 및 설치 등의 입찰과 관련하여서는 별도의 절차와 기준을 정하여 이를 고시할 수 있다.<개정 2013.3.23>

20(신규 유망전시회 발굴)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시산업의 발전 및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신규 유망전시회를 발굴하고 이를 지원하여야 한다.<개정 2013.3.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신규 유망전시회의 발굴과 지원을 위하여 주관기관으로 하여금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실시하게 할 수 있다.<개정 2013.3.23>

1. 전시회 기획 및 설계·디자인 공모전

2. 신규 유망전시회 선정 및 이에 대한 지원 사업

3. 그 밖에 신규 유망전시회의 발굴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으로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정하는 사업

5장 전시산업 지원

21(전시산업의 지원)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시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예산의 범위에서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지원할 수 있다.<개정 2013.3.23, 2016.1.27>

1. 6조에 따른 전시산업 시장현황조사 및 수요조사

2. 11조부터 제20조까지에 따른 전시산업 기반조성 사업

3. 국내 전시회 및 전시회부대행사 개최

4. 해외 전시회 참가 사업

5. 그 밖에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제1항에 따라 지원을 받은 자가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지원을 받거나 지원받은 사업목적으로 지원금을 사용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지원 상당액을 환수하여야 한다.<개정 2013.3.23>

1항 및 제2항에 따른 지원 및 지원 환수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전시산업의 발전과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제1항에 따라 지원되는 전시회 중 유사한 전시회에 대하여 이를 통합 또는 조정할 수 있다.<개정 2013.3.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해외마케팅 활성화와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해외마케팅 지원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제1항제4호의 해외전시회 참가 지원 유형 및 기준 등을 관계 기관과 협의하여 별도로 정하여 고시할 수 있다.<개정 2013.3.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제5항의 해외마케팅 지원전략에 따라 해외마케팅 성과 제고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관계 기관과 협의하여 해외 전시회 지원 사업을 조정할 수 있다.<개정 2013.3.23>

22(전시회 평가제도 운영)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제21조에 따라 지원되는 국내 전시회 개최 및 해외 전시회 참가에 대한 평가제도를 운영할 수 있다.<개정 2013.3.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제21조제1항에 따른 국내 전시회 개최 및 해외 전시회 참가 지원시 제1항에 따른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야 한다.<개정 2013.3.23>

1항 및 제2항에 따른 평가의 방법 및 절차 등 평가제도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3(세제지원 등) 정부는 전시산업의 발전 및 활성화를 위하여 조세특례제한법, 지방세특례제한법, 그 밖의 조세 관련 법률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전시사업자에 대하여 조세감면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개정 2010.3.31>

정부는 전시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전시사업자에 대하여 금융 및 행정상 지원 등 필요한 지원조치를 할 수 있다.

24(부담금 등의 감면) 전시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에 대하여는 관련 법률로 정하는 바에 따라 다음 각 호의 부담금 등을 감면할 수 있다.

1. 산지관리법19조에 따른 대체산림자원조성비

2. 농지법38조에 따른 농지보전부담금

3. 초지법23조제6항에 따른 대체초지조성비

25조 삭제<2015.2.3>

6장 보칙

26(·공유재산의 임대 및 매각<개정 2010.2.4>)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전시시설의 효율적인 조성·운영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제4조제1항제4호부터 제6호까지의 자와 제8호의 법인 또는 단체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에 대하여 국유재산법또는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에도 불구하고 수의계약에 의하여 국유재산 또는 공유재산을 사용·수익허가 또는 대부(이하 임대라 한다)하거나 매각할 수 있다.<개정 2015.2.3>

1항에 따라 국유 또는 공유의 토지나 건물을 임대하는 경우의 임대기간은 국유재산법또는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에도 불구하고 20년의 범위 이내로 할 수 있으며, 이를 연장할 수 있다.<개정 2010.2.4>

1항에 따라 국유 또는 공유의 토지를 임대하는 경우에는 국유재산법또는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에도 불구하고 그 토지 위에 건물이나 그 밖의 영구시설물을 축조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항에 따른 임대기간이 종료되는 때에 이를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하거나 원상으로 회복하여 반환하는 조건으로 토지를 임대할 수 있다.

주관기관은 제3항에 따라 국유지 또는 공유지에 건물이나 그 밖의 영구시설물을 축조한 경우에는 해당 시설을 담보로 제공하거나 매각할 수 없다.

27(전시시설 건축시 허가 등의 의제) 전시시설에 대하여 건축법11조에 따른 건축허가를 받거나 같은 법 제14조에 따른 건축신고를 함에 있어서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이 제4항에 따라 다른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한 사항에 대하여는 같은 법 제11조제5항 각 호의 사항 외에 다음 각 호의 허가·인가·승인·동의 또는 신고(이하 허가등이라 한다)에 관하여 허가등을 받은 것으로 본다.<개정 2011.8.4>

1. 하수도법24조에 따른 시설 또는 공작물 설치의 허가

2. 수도법52조에 따른 전용상수도 설치의 인가

3.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7조제1항에 따른 건축허가의 동의

4. 폐기물관리법29조제2항에 따른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의 승인 또는 신고

전시시설에 대하여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이 건축법22조에 따른 건축물의 사용승인을 함에 있어서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이 제4항에 따라 다른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한 사항에 대하여는 같은 법 제22조제4항 각 호의 사항 외에 다음 각 호의 검사 또는 신고(이하 검사등이라 한다)에 관하여 검사등을 받은 것으로 본다.

1. 수도법53조에 따라 준용되는 전용상수도의 수질검사 등

2. 소방시설공사업법14조에 따른 소방시설의 완공검사

3. 폐기물관리법29조제4항에 따른 폐기물처리시설의 사용개시 신고

허가등 및 검사등의 의제를 받으려는 자는 해당 전시시설의 건축허가신청 및 건축신고와 사용승인신청을 하는 때에 해당 법령이 정하는 관련 서류를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이 건축법11조제1항 및 같은 법 제14조제1항에 따른 건축허가·건축신고 및 같은 법 제22조제1항에 따른 사용승인을 함에 있어서 제1항 및 제2항에 해당하는 사항이 다른 행정기관의 권한에 속하는 경우에는 그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야 한다. 이 경우 협의를 요청받은 행정기관의 장은 요청받은 날부터 15일 이내에 의견을 제출하여야 한다.

28(위임과 위탁)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제6, 12, 13, 15조부터 제18조까지 및 제20조부터 제22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권한 또는 업무의 일부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관계 행정기관의 장, 관련 법인 또는 단체에 위임 또는 위탁할 수 있다.<개정 2013.3.23, 2015.2.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제1항에 따라 업무를 위탁받은 법인 또는 단체에 대하여 예산의 범위에서 필요한 경비를 보조할 수 있다.<개정 2013.3.23>

7장 삭제<2015.2.3>

29조 삭제<2015.2.3>

부칙 <8935,2008.3.21>

1(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2(처분 등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전에 무역거래기반 조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받은 것으로 보는 허가등 및 검사등은 이 법에 받은 것으로 보는 허가등 및 검사등으로 본다.

3(다른 법률의 개정) 무역거래기반 조성에 관한 법률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2조제1호 중 무역전시장, 전자무역체제전자무역체제로 한다.

2조제5호 중 무역전시장 등 무역거래기반조성에무역거래기반조성에로 한다.

2조제3·4, 4조제1항제1, 5조 및 제6조제2항제1호를 각각 삭제한다.

4(다른 법률과의 관계) 이 법 시행 당시 다른 법률에서 종전의 무역전시장에 관하여 무역거래기반 조성에 관한 법률및 그 규정을 인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법 또는 이 법의 해당 규정을 인용한 것으로 본다.

부칙(식품위생법) <9432,2009.2.6>

1(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부칙 제6조제12(11조제1항의 개정부분으로 한정한다)201011일부터 시행한다.

2조부터 제5조까지 생략

6(다른 법률의 개정) 부터 까지 생략

전시산업발전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8조제1항제1호 중 식품위생법22조제1항 또는 제5식품위생법37조제1항 또는 제4으로 하고, 같은 항 제2호 중 식품위생법69조제1식품위생법88조제1으로 한다.

부터 <30>까지 생략

7조 생략

부칙(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9685,2009.5.21>

1(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2조부터 제6조까지 생략

7(다른 법률의 개정) 부터 <23>까지 생략

전시산업발전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4조제1항제5호 중 중소기업진흥 및 제품구매 촉진에 관한 법률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로 한다.

부터 <37>까지 생략

8조 생략

부칙 <10027,2010.2.4>

(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공유재산의 임대에 관한 적용례) 26조제2항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 후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최초로 임대하는 것부터 적용한다.

부칙(지방세특례제한법) <10220,2010.3.31>

1(시행일) 이 법은 201111일부터 시행한다.

2조 및 제3조 생략

4(다른 법률의 개정) 부터 <31>까지 생략

전시산업발전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23조제1항 중 지방세법지방세특례제한법으로 한다.

부터 <45>까지 생략

5조 생략

부칙 <10495,2011.3.30>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11037,2011.8.4>

1(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2조부터 제5조까지 생략

6(다른 법률의 개정) 부터 <19>까지 생략

전시산업발전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27조제1항제3호 중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로 한다.

부터 <25>까지 생략

부칙(정부조직법) <11690,2013.3.23>

1(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6조에 따라 개정되는 법률 중 이 법의 시행 전에 공포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아니한 법률을 개정한 부분은 각각 해당 법률의 시행일부터 시행하되, 같은 조 제477항에 따른 약사법47조제1항 및 제481항에 따른 의료기기법18조제1항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 후 1년의 범위에서 해당 법률에 관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날부터 시행한다.

2조부터 제5조까지 생략

6(다른 법률의 개정) 부터 <420>까지 생략

전시산업발전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2조제6, 7조 전단 및 제13조제3항 전단 중 지식경제부령을 각각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한다.

3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같은 조 제2·3, 4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같은 조 제2·3, 5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같은 항 제4, 6조제1, 같은 조 제2항 전단, 7, 8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같은 조 제2·3, 10조 각 호 외의 부분, 11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같은 항 제5, 같은 조 제2·3, 12조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같은 항 제3, 13조제1, 같은 조 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같은 항 제4, 같은 조 제3항 전단, 14조제1·2, 15조제1, 같은 조 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같은 항 제3, 같은 조 제3, 16조제1, 같은 조 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같은 항 제4, 17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 18조제1·2, 같은 조 제3항 각 호 외의 부분, 같은 항 제3, 19, 20조제1, 같은 조 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같은 항 제3, 21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같은 항 제5, 같은 조 제2, 같은 조 제4항부터 제6항까지, 22조제1·2, 25조제1, 같은 조 제5항제4, 28조제1·2, 29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2항 중 지식경제부장관을 각각 산업통상자원부장관으로 한다.

부터 <710>까지 생략

7조 생략

부칙 <12306,2014.1.21>

1(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2(금치산자 등에 대한 경과조치) 9조제1호의 개정규정에 따른 피성년후견인에는 법률 제10429호 민법 일부개정법률 부칙 제2조에 따라 금치산 또는 한정치산 선고의 효력이 유지되는 사람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부칙 <12613,2014.5.20>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13154,2015.2.3>

1(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2(전시사업자 단체에 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종전의 제25조에 따라 설립된 사업자단체는 이 법 시행과 동시에 민법에 따라 설립된 사단법인으로 본다.

부칙 <13861,2016.1.27>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글쓴이 : 관리자 날짜 : 2016-08-07 (일) 19:53 조회 : 1842

hi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QR CODE


건설공제조합
서울보증보험
조달청
KOSKA
국토교통부
키스콘
대법원
대한주택보증
건설공제조합
서울보증보험
조달청
KOSKA
국토교통부
키스콘
대법원
대한주택보증
상호:(주)디노건축 대표: 백미순 TEL:031-311-5057 FAX:031-311-5059
주소 : 경기도 시흥시 연성로 156번길 35-2, 가동(광석동) 전자전송 :0303-3446-2600
Copyright (c) 2015 (주)디노건축 company all rights reserved.
a